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

본문 바로가기


현재 위치
  1. 게시판
  2. 자료실

자료실

자료실입니다.

게시판 상세
제목 퇴근시간입니다 퇴근합시다
작성자 퇴근하자 (ip:)
  • 평점 0점  
  • 작성일 2019-03-27 13:46:28
  • 추천 추천하기
  • 조회수 0
민언련은 “뉴스타파가 1월28일부터 2월15일까지 총 8회에 걸쳐 언론인들의 ‘무더기’ 비위를 고발하는 기획보도를 진행하는 동안은 물론 그후 한 달이 지나도록 모두라고 해도 좋을 만큼 언론 다수가 침묵을 지켰다”고 비판했다. 민언련은 “만약 비위 대상으로 지목된 집단이 언론이 아닌 사법부였다면, 국회였다면, 청와대였다면, 일반 시민이었다면 언론은 지금처럼 침묵했을까”라고 반문한 뒤 “왜 언론 문제에 침묵하는지 언론은 답해야 한다”고 밝혔다. 민언련은 조선일보를 제외한 전국단위 9개 일간지(경향신문·국민일보·동아일보·문화일보·서울신문·세계일보·중앙일보·한겨레·한국일보)와 6개 경제지(매일경제·서울경제·아시아경제·한국경제·헤럴드경제·머니투데이), 6개 인터넷 언론(CBS노컷뉴스·뉴스1·뉴시스·민중의소리·오마이뉴스·프레시안), 지상파 4사(KBS·MBC·SBS·OBS), 4곳의 종합편성채널(TV조선·JTBC·채널A·MBN), 2곳의 보도 전문 채널(YTN·연합뉴스TV) 등 31개 언론사의 편집·보도국장, 보도본부장 등에게 무보도 이유를 묻는 질의서를 발송했다. 질의서에는 △‘박수환 문자’로 드러난 언론과 기업 유착, 기사 거래 문제를 왜 보도하지 않느냐. 해당 사안 보도 가치에 편집·보도국장(보도본부장)으로서 어떻게 판단하고 있느냐 △귀사 편집국·보도국 내 ‘박수환 문자’로 드러난 언론·언론인과 기업 유착, 기사 거래 보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나 발제가 있었느냐 △언론과 기업(자본) 유착에 기획 보도를 진행할 계획이 있느냐 △귀사 편집·보도국 내부에 실태 점검과 기자윤리 실천을 위한 논의가 있었느냐 등 내용이 포함돼 있다.
첨부파일
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.
관리자게시 게시안함 스팸신고 스팸해제 목록 삭제 수정 답변
댓글 수정

비밀번호 :

수정 취소

/ byte

비밀번호 : 확인 취소

댓글 입력
댓글달기 이름 : 비밀번호 : 관리자답변보기

영문 대소문자/숫자/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 조합, 10자~16자

확인

/ byte

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.(대소문자구분)

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.




WORLD SHIPPING

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:

GO
close